상그릴라(SHANG RI-LA)의 땅, 네팔에서(44) 부처님 어머니의 생가 데바더흐에 가다 석가모니의 어머니 마야데비 생가가 있는 마을은 룸비니를 찾는 관광객의 발걸음이 늘면서 새로 조성되고 있었다. 성자를 낳은 어머니 마야데비다. 네팔 말 그리고 인도말로 마야는 사랑(=다솜)이다. 기자는 마야라는 말을 이해하면서 네팔 말 마.. 내가 사는 세상/나의 여행기 2012.12.29
상그릴라(SHANG RI-LA)의 땅, 네팔에서(43) 실천하지 않는 과도한 지식의 축적이 문제 룸비니 동산을 떠나기 전, 불교신자인 성백선 형님이 룸비니에서 불상을 모시고 싶다는 마음을 전했다. 기자는 마야데비 박물관을 빠져나오는 길목에 수많은 불교용품점을 지나며 한국말을 들은 기억이 있다. 먹고 사는 문제에는 많은 것을 걸.. 내가 사는 세상/나의 여행기 2012.12.29
상그릴라(SHANG RI-LA)의 땅, 네팔에서(42) 사람은 사람을찾아 살고 죽는다 사람은 사람을 찾아 살고 죽는다. 우리는 신을 찾는다고 신을 위해 손을 모으지만 우리가 우선 할 일은 사람에게 손을 모으는 일이다. 내 눈 앞에 사람들에게도 손을 모으지 못하고 경배하지 못하는 사람이 그 어떤 대상에게 손을 모은들 무슨 의미가 있을.. 내가 사는 세상/나의 여행기 2012.12.29
상그릴라(SHANG RI-LA)의 땅, 네팔에서(41) 사색한다. 인간이 인간에게 예를 다하기를 바라며 인도 혹은 네팔 남부의 사람들이 걸어오며 꽃처럼 향기를 피울 것만 같은 웃음을 짓고 있다. 낯선 이방인에게 멀리서부터 은은한 눈빛을 하고 손을 모아 나마스떼~!라 인사하고 있다. 난 그런 그들을 보며 깨우쳤다하는 사람들의 무지를 .. 내가 사는 세상/나의 여행기 2012.12.29
상그릴라(SHANG RI-LA)의 땅, 네팔에서(40) 룸비니 동산을 걷다 아침이 밝아올 때마다 사람들은 자신을 향해 경배를 하면 어떨까 하는 생각이 든다. 새로운 하루, 모든 새로움을 향해 길을 내는 시작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많은 사람들은 그 일상의 새로운 탄생에 대해 생각조차 하지 못하고 그 소중한 날들을 허비하기 바쁘다. 그.. 내가 사는 세상/나의 여행기 2012.12.29
상그릴라(SHANG RI-LA)의 땅, 네팔에서(39) 룸비니 동산 앞 십자가 어찌볼까? 룸비니 공항의 뙤약볕은 말 할 수 없이 강했다. 전하는 말로는 석가모니 탄생 당시에는 이토록 무덥지 않았다고 한다. 하지만 기자는 확인할 길이 없다. 미리 화가 비케이의 지인을 통해 택시를 대절해 두었다. 도착 후 택시는 20분 정도 늦게 공항에 왔다.. 내가 사는 세상/나의 여행기 2012.12.29
상그릴라(SHANG RI-LA)의 땅, 네팔에서(38) 밖을 향해 걸을 때 안의 문이 열린다 어린 임금(?) 로한이 기자를 잘 따르는 덕으로 머니라이 일가와 더욱 친근한 관계가 되었다. 덕분에 어린 임금의 소변을 여러 차례 선물로 받아내기도 했다. 그리고 한 동안 머니라이 집에 머물렀다. 어릴 때 고향에서 어른들이 하던 말이다. 조카나 아.. 내가 사는 세상/나의 여행기 2012.12.29
제가 둘러본 파수파티 동영상입니다.(사진 편집) 파수파티의 전설 한 목동이 젖소에서 갑자기 젖이 나오지 않자 이를 수상히 여겨 미행을 했다. 젖소는 한참을 걷더니 한 곳에 머물러 움직이지 않았다. 그런데 그때 젖이 땅 속으로 스며들어간다. 후일 이곳을 파헤쳐 들어가니 빛이 나서 계속 파들어 갔고 불길이 솟아나며 땅을 파던 목.. 내가 사는 세상/나의 여행기 2012.12.28
네팔에서 첫 동화책을 냈습니다.(무나 마단의 하늘) 시민기자, 네팔어린이를 위한 첫 동화 3개국어 출간 무나 마단의 새로운 역사를 기대하며 등록일 : 2012-07-17 20:54:20 | 작성자 : 시민기자 김형효 호흡이 시작된 후 나는 줄곧 한국인이다. 나의 모든 유전자 구조는 물론 사유의 모든 에너지도 그런 흐름을 벗어나지 못한다. 나는 부모의 자식.. 내가 사는 세상/나의 여행기 2012.07.18
[스크랩] 詩 ; 새의 얼굴 새의 얼굴 보고 싶습니다. 새의 얼굴에 새겨진 이야기를 세월처럼 멀고 먼 길을 거닐다 날개를 접고 앉은 나뭇가지에 깃든 사연을 보고 눈물을 짓는지 노래를 하는지 지저귑니다. 그 지저귐을 따라가다 멀고 먼 길 위의 형제들에 사연을 읽다가 새 한 마리가 읽어온 내 나라의 사연을 읽.. 내가 사는 세상/내가 쓰는 시 2012.06.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