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의 택시 드라이버 - 6 사연많은 사람들을 만난다. 저마다의 사연을 대하면서 그 사연이 아픔일 때 아픔을 위로하고자 하고 그 사연이 고통일 때 역시 그 고통을 달래주려고 한다. 인지상정 사람의 일이다. 인지상정 사람의 마음이다. 성혜주는 9살 아이다. 그의 아버지는 인테리어 사업을 하는 분이고 그의 어머니는 지금 신.. 내가 사는 세상/나의 여행기 2007.05.07
한밭 벌에서 - 거리 5 거리를 채운 그 어느 것도 아름답지 않은 것이 없다. 거리를 채운 그 어떤 것도 쓸모없는 것이 없다. 사람의 거리에 그 무엇이 허접한 것이랴! 사람의 길에 길이 아닌 것도 길이 없는 것도 없다. 오늘 중얼거린다. 중얼거리는 세월, 중얼거리는 세계 난 그 안에서 외로운 불나방 한마리처럼 불빛을 쫓고 .. 내가 사는 세상/내가 쓰는 시 2007.05.07
한밭벌에서 - 거리 4 지구의 자전을 돕느라고 차 바퀴가 돈다. 지구의 공전을 돕느라고 나도 따라 돌고 돈다. 자전과 공전의 기억 속에 너도 나도 길 잃은 나그네 자전과 공전의 기억 속에 꽃 나비가 난다. 자전과 공전의 기억 속에 꽃이 지고 꽃이 핀다. 자전과 공전의 기억 속에 밤과 낮이 서로를 외면한다. 그렇게 사람과 .. 내가 사는 세상/내가 쓰는 시 2007.05.01
대전의 택시 드라이버 - 4 신파는 영원한 인간의 감성구조가 아닐까? 나는 그런 면에서 과거형 인간이다. 나는 그런 점에서 과거를 옹호하는 인간이다. 사람이기에 사람의 감성에 기반을 둔 신파를......, 세상이 울고 있다. 아니 비가 내리는구나! 택시를 타면서 나도 누군가에게 소중한 상징이 될 수 있는 그런 사연 하나 간직한.. 내가 사는 세상/나의 여행기 2007.05.01
수원에서 보낸 하루! 오일 동안의 격무를 달랠 수 있는 시간을 맞았다. 수원 남문의 삼익 피아노 골목길에 카페 " 너도 바람꽃 나도 바람꽃"이라는 곳에서 열린 조양래 시인 출판기념회를 찾았다. 땅끝마을의 청년 조양래라는 시인이 수원에 와서 살면서 아픈 유년의 기억을 되새김질하며 끝없이 걸었던 길은 시인의 고독! .. 내가 사는 세상/나의 여행기 2007.04.29
[스크랩] 5월 19일 고향 기행 동다송의 저자 초의선사 생가 현판 초의선사 생가 모습 일지함..., 초의 선사 생가에 핀 꽃..., 자식이 쓴 시비 앞에서 불효자식과 함께..., 저 뒤에 보이는 산들은 섬이라네..., 내가 사는 세상/나의 여행기 2007.04.28
[스크랩] 2006년 새해에는 이렇게 살 일! 새해라고 말들 한다. 나 또한 마찬가지지. 가는 세월의 무게에 짓눌린 사람들이 그 무게를 덜어내고 싶은 것이겠지. 그렇게 생각을 하고 보면, 다시 사람들이 안쓰럽다. 누가 그들더러 그렇게 버거운 무게의 것들을 짊어지라 했던가? 그저 묵묵히 갈 것이었지. 삶의 여정이란 것이 그들 생각처럼 버거.. 내가 사는 세상/내가 쓰는 시 2007.04.28
[스크랩] 정동진의 아침...,2006년 1월 29일 설날...,일출! 안녕을 빕니다. 힘든 사람, 기쁜 사람, 모두 한 자리에서 위로하고 격려가 되는 그런 날이길 바라면서..., 새해 아침을 맞습니다. 행복하세요..., 바다에서 알이 솟는다. 거치름도 버거움도 쓸쓸함도 아쉬움도 온갖 고난의 것들 무난하게 아프라삭스! 바다에서 알이 솟았다. 찬란함만 희열만 용기만 벅차.. 내가 사는 세상/내가 쓰는 시 2007.04.28
[스크랩] 장백폭포 아래에서------- *백두산 장백폭포 아래서 민족을 생각하며/// 조국, 고구려의 환생 산 아래 흰 옷 입은 사람들이 산다. 천지를 받치고 섰는 고대의 조국, 고구려의 아이가 산다. 백두산맥, 천지의 벽을 넘어 장엄한 길 걸었던 천손의 사자들 흰 옷자락을 펄럭이며 아장 걸음으로 산맥을 넘고 있다. 황량한 벌판에 대륙을.. 내가 사는 세상/내가 쓰는 시 2007.04.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