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크라이나에서 새해를 맞았다. 이곳에 온 지 10개월만이다. 사람들은 새해를 맞으며 활기를 찾고 그 활기를 무기로 한 해를 살아가는 것이 아닐까 생각된다. 새해맞이의 모습은 어느 곳이나 크게 다르지 않은 기대감으로 시작되는 것 같다.
이곳 우크라이나는 연말연시를 우울하게 시작하고 있다. IMF 구제 금융(20억달러)을 신청했으나 거부당한 상태이며 곧 있을 대통령 선거로 각 정파에 의해 국민들간에 대립각이 선 형국이기 때문이다. 더구나 선거에 대한 전망이 엇갈리고 각 정파간 이합집산이 예측불허의 형국을 나타내면서 불투명한 전망들로 어수선하기까지 하다.
하지만 평범한 국민 다수는 나름대로의 일상 속에서 자신들의 한 해에 대한 기대를 버리지 않은 듯하다. 사람들은 각기 자신의 기대와 그 기대를 충족시키려는 힘으로 일상을 살아가고 있다. 그래서 시대의 우울과 상관없이 새로운 시작에 활력을 가까운 지인들과 공유하는 것 같다.
거리에 풍경도 한국처럼 요란하지는 않지만, 연말을 보내며 수많은 폭죽을 터트리며 환호하는 그들을 보았다. 마치 전쟁터를 방불케 할 만큼 무수한 폭죽이 터져 12월 31일 밤은 잠을 이루기가 고통스러웠다.
필자는 오는 월요일(1월 4일) 우크라이나 남부 크림반도에 있는 크림방송국의 한국문화관련 텔레비전 촬영을 앞두고 있다. 이곳에 와서 가르친 고려인들과 함께 출연예정이다. 마치 한국에서 카페 회원과 초등학교 동창생들이 보내준 한복을 입고 "나리나리 개나리"와 "아리랑" 그리고 "둥글게 둥글게"를 부르기로 했다. 물론 이곳에 와서 필자가 가르친 한글학교 학생들이 부르게 된다.
지난 연말에도 예빠토리야 라디오 방송에 출연해서 한국에 대한 인터뷰를 가진 바 있다. 그 인터뷰는 생방송으로 진행되었는데 필자는 쑥대머리를 즉석에서 부르기도 했다. 러시아어로 진행된 쉽지 않은 인터뷰에다 서툰 쑥대머리였지만, 자신감을 잃지 않고 부르기 위해 애썼고 인근의 고려인들이 방송을 들었다는 소식을 들었다. 그들이 들은 우리가락의 느낌은 어떤 것이었을까? 많은 고려인들이 정착하고 있는 장꼬이라는 지역의 우크라이나인에게 예빠토리야에 있는 한국인이 라디오에 출연했다면서 안부를 물어왔다.
필자는 작년의 우울을 잊지 못한다. 모국에 두 분의 의미 있는 지도자를 잃은 슬픔을 타국에서 견뎌야했고 그 아픔만이 아닌 조국의 민주주의가 암울한 형상으로 아픔이 되어가는 모습을 보고 있다. 그리고 그런 연장선에서 새해를 맞았다. 필자에게도 새해에 기대감을 갖는 일들이 있고 또 나라와 민족 그리고 가족과 사회의 변화에 대한 기대가 있다. 그러나 무엇보다 지금 타국에서 모국을 바라보는 아픔과 그 기대감만큼 크게 나를 지배하는 것은 없는 듯하다. 그래서 집 떠나면 가족이 보이고 나라를 떠나면 애국자가 된다고 했나보다.
하지만 필자에게는 작년 연말 중요한 의미를 만들었다. 우크라이나 국립쉐브첸코 대학교 출판부에서 필자의 시집을 출간하기로 한 일이다. 그것은 생존 한국 시인으로는 처음으로 출간되는 한국어, 우크라이나어판 시집이며 한국인으로서는 김소월 시인 시집 이후 두 번째 시집이다.
이번 시집은 현재 국립쉐브첸코 대학교 한국어과 학과장으로 재직중이신 김석원 교수님의 번역으로 준비될 예정이다. 필자는 이곳의 고려인들을 위해 김석원 교수님의 협조를 받아 한국어, 러시아어판도 함께 출간하는 문제를 고려중이다. 지금까지 한국어, 우크라이나어판 시집은 김소월 시집이 유일하다. 필자의 시집(가제:어느 겨울밤 이야기)는 오는 5월 발간 예정이다.
조국의 하늘에 밝은 기운이 가득해서 모든 사람들이 평화롭고 희망찬 일상을 살아갈 수 있게 되기를, 조국의 하늘이 밝은 기운으로 가득해서 평화와 통일의 새 장이 열리는 새해가 되었으면 하고 기대해본다. 낯선 나라에서 하루하루 일상을 살아가는 나그네의 기대가 허망하지 않았으면 하고 간절히 기도하는 마음이다. |
'내가 사는 세상 > 나의 여행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킨헤드 공격 러시아만의 문제 아니다 (0) | 2010.03.14 |
---|---|
우크라이나 대선 혼전 양상 3위 후보 급부상 (0) | 2010.01.09 |
주우크라이나 박노벽 대사, 해외봉사단원(KOICA) 초청 만찬 (0) | 2009.12.30 |
우크라이나 생활 1년 8개월, 그 결실을 보다 (0) | 2009.12.14 |
간 길 가고 그 길 또 가고 그렇게 보고 또 보는 것처럼 삶도 돌고 돌아가리 (0) | 2009.11.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