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내가 사는 세상/내가 만난 세상 이야기

3개월의 긴 방학 마치고, 또 21일 간의 여행을 하다

by 김형효 2010. 11. 23.

우크라이나 쉬꼴라 학생들의 여행

 

우크라이나 남부 크림반도에는 무수히 많은 관광지들이 있다. 필자가 머물고 있는 예빠토리야도 그 중 한 곳이다. 크림 반도에는 역사적으로 오래된 도시들이 많다. 한국 뿐 아니라 세계적으로 알려져 있는 세바스토폴과 얄타는 언급할 필요가 없을 것이다.

 

5월부터 시작된 관광객들의 움직임이 이제는 좀 드물다. 바닷가 부근 노점들은 철시했거나 철시중이다. 그럼에도 러시아 모스크바, 우크라이나 각지에서는 많은 여행객들이 아직도 가는 계절의 아쉬움을 달래려 발걸음을 잇고 있다. 그들 대부분은 쉬꼴라 학생들이다. 쉬꼴라는 12년제로 한 학교를 12년에 걸쳐 다닌다. 한국의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과정을 한 학교에서 마치는 것이다.

 

  
▲ 러시아에서 온 학생들 저들은 모스크바에서 여행 온 학생들이다. 선생님, 친구들과 3주간의 긴 여행은 어떤 기억으로 남을까? 궁금하고 궁금하다.
ⓒ 김형효
러시아에서 온 학생들

 

 

  
▲ 러시아, 우크라이나 각지의 여행객들이 어우러지는 곳 남녀노소가 풍요로운 낭만으로 어우러지는 흑해 바닷가
ⓒ 김형효
각지의 여행객들이 어우러지는 곳

 

 

여름철에는 그저 인파에 밀리며 거친 파도에 몸을 맡기고 뜨거운 태양아래서 망중한을 즐기던 관광객들이다. 그런데 요즘의 관광객들은 거리를 걷거나 바닷가를 산책하는 모습을 자주 볼 수 있다. 가끔씩은 낙엽을 무더기 지어 꽃처럼 손에 들고 다니는 사람들도 눈에 띤다. 쉬꼴라 학생들의 격의 없는 눈짓은 이방인인 필자에게는 한결 편안한 눈길이다. 가끔씩 그들이 청하여 모델이 되는 기분도 나쁘지 않다.

 

그들은 흔히 볼 수 없는 동양인에 대한 좋은 관심을 보여주기 때문이다. 아직은 순수한 그들에게 필자도 편한 마음으로 모델이 되어주고는 한다. 이런 움직임도 한국인들이 후일 이곳을 찾았을 때 불편을 덜 겪을 수 있다는, 작은 기여를 한다는 생각을 가져본다. 나름 그들과 동양인과의 친근감을 높여보자는 사소한 욕심이 있는 것이다.

 

  
▲ 흑해 바다 갈매기와 강태공들 바다갈매기와 강태공들이다. 낚싯대를 드리운 바닷가, 바다갈매기들이 그 위를 날고 있다.
ⓒ 김형효
흑해 바다 갈매기와 강태공들

 

 

  
▲ 예빠토리야 한 시장 후보의 유세차량 처음으로 목격한 한 시장 후보의 유세차량이다. 선거 후 4일째인 오는 4일에야 당락이 판가름난다고 한다.
ⓒ 김형효
예빠토리야 한 시장 후보의 유세차량

 

 

또한 그들을 만나 이야기를 나누며 그들이 한없이 부럽고 부러웠다. 3개월에 가까운 긴 방학을 마치고 개학한 그들이다. 그런데 다시 개학한 후 친구들과 함께 휴양도시 예빠토리야와 인근에 머물며 21일간의 긴 여행을 하고 있었다. 그것은 모스크바와 우크라이나 각지의 아이들이 한결 같았다.

 

어제는 우크라이나 전국선거인 지방자치단체장 및 지방의회 선거가 있었다. 선거와 관련한 결과는 11월 4일에야 그 당락을 알 수 있다고 한다. 필자는 지난 대선에 깊은 관심을 가지고 지켜봤다. 그러나 선거 전에 부정, 탈법이 묵인되고 넘어가는 것을 본 후 선거에 관심이 떨어졌다. 사실 대선에 비해서 우크라이나 국민들도 별 관심이 없는 눈치다. 한 두 차례 도심을 오가는 가두방송 차량을 본 것이 선거전의 전부다.

 

  
▲ 예빠토리야의 노을진 하늘빛 깊고 깊은 가을 하늘에 빌어본다. 모두가 풍요로운 일상을 맞이하기를, 평화롭기를, 건강하시기를......,
ⓒ 김형효
예빠토리야의 노을진 하늘빛

 

 

선거와 관계없이 많은 공연과 콘서트가 열렸다. 대부분이 학생들이 중심이 된 공연이다. 사실 우크라이나 전역에 많은 극장들은 휴일을 제외하고 상시 공연을 한다. 그것은 쉬꼴라 학생들도 수시로 하는 일반적인 일이다. 공연장이 아니라도 우크라이나에서는 많은 사람들이 공연을 관람하는 일은 밥 먹는 일상과도 같다. 덕분에 필자도 가끔씩 학생들의 초대를 받기도 한다. 이제는 공연을 보는 자체가 무료하다. 일상적이라 할만큼 자주 보기 때문이다.

 

지난 주에는 크림 따따르라는 민족의 사진전이 열렸다. 필자도 시문화국장의 초대를 받아 관람하는 기회를 가졌다. 필자와 잘 아는 따따르 족들이 사진 속 주인공이었다. 반갑기도 하고 그들에 대한 역사를 취재하고 싶은 욕심이 생겼다. 그래서 시문화국에 근무하고 있는 크림 따따르 족의 후손인 엘비라(ЭЛЬВИРА, 여성 54세)라는 분을 만나 크림 따따르 족의 역사에 대해서 취재했다. 그리고 페레스트로이카가 가져온 그들의 비극을 취재하였다.

 

 

 

  
▲ 크림 따따르족 학생들과 함께 초대 받아 갔던 크림 따따르족 사진전에서 만난 크림 따따르족 학생들과 함께 두반박물관에서
ⓒ 김형효
크림 따따르족 학생들과 함께

 

 

크림 따따르족의 슬픔의 역사는 다음에 이어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