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그릴라(SHANGRI-LA)의 땅, 네팔에서(20)
세상 어느 나라나 정치가 있다. 많은 사람들은 정치에 무관심하다고 말한다. 그런데 그 무관심하고 싶어하는 무관심 때문에 많은 폐단도 따른다. 지금 네팔은 정치적 무관심과 정치적 관심을 가진 사람들의 쟁패가 일반화된 양상이다. 네팔왕정이 폐지되던 2008년 어느 날, 왕궁 인근 거리에서 네팔의 민주화를 이야기할때 한국사람들이 생각하는 것과 다르다는 것이다. 과연 한국에 마오주의자들이 정치를 이끄는 핵심이 되었다면 그것을 민주화라 이해할 사람은 없을 것이다. 네팔의 민주화는 네팔이 공산주의화된 것이다. 한국 사람이 이해하는 민주화와 얼마나 커다란 차이가 있는가? 네팔 민주화를 이끌었던 지도자 중의 한 사람인 비스누 니스투리와 함께(네팔 정부 청사 뒷길에서) 네팔사람들도 수많은 매스미디어에 관심을 집중하고 있다. 허약한 경제구조 속에서도 많은 사람들이 거리에서 집에서 사무실에서 뉴스를 접하고 있다. 여행자의 눈에도 그런 모습을 접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 아니다. 그런데 지금 많은 네팔사람들은 좌절하고 있는 느낌이다. 하지만 사람은 삶을 포기할 수 없어 다시 체념의 끝에서 관심을 건져 올린다. 마치 생존을 위한 마지막 무기가 일상에 대한 관심인 것처럼 말이다.
네팔 어린이들이 바누 벅타 어챠르야를 기리는 행사에서 합동 공연을 마친 후 얼마 전 한국어 능력시험이 끝났고, 지난번 한국어 능력시험에 통과한 사람이 있다. 한국에 가려다 한국 공항에서 퇴짜를 맞고 귀국한 두 사람 중 한 사람을 어제 만났다. 그는 말했다. 한국이 나쁘단다. 그 나쁘다는 이유는 5년 전의 기록이 지금도 남아 있다는 것이다. 그런데 그의 입으로 정치에 대해 비판할 때 어떻게 받아들여야 할까? 그가 정치가에 대한 비판 혹은 비난을 할 때 무어라 해야 할까? 네팔 민주화가 한창 진행 중일때, 한국에 공급된 네팔 정치 잡지 표지다. 우리가 아는 네팔 민주화는 왕정을 폐지하는 일이었고 그 중심에는 공산주의자들이 있었다. 아마도 발전과정의 일인지도 모르겠으나, 보는 사람은 많이 답답하다. 그러나 알 수 없는 것은 고대 혹은 과거의 네팔 역사와 현재에도 다양한 철학과 역사적 현실을 직시하는 스승들이 없는 것도 없었던 것도 아니다. 나는 그들의 현실을 보며 안타깝지만 그들의 스승을 찾아 배우기를 희망하고 있다. |
'내가 사는 세상 > 나의 여행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원에서 만난 네팔 시인을 카트만두에서 재회하다. (0) | 2011.08.04 |
---|---|
네팔 유치원 방문기 (0) | 2011.08.02 |
네팔에서 한국어 능력시험 진행을 돕다 (0) | 2011.07.29 |
네팔 프로축구 역사 28년(?) (0) | 2011.07.29 |
네팔에도 "스승의 날"이 있다 (0) | 2011.07.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