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토요일인 15일 수원의 한 네팔레스토랑에서 좀처럼 보기 힘든 결연의 날 행사가 열렸다.
네팔의 시인이자 사업가인 크리스나 쁘라싸이가 두 사람의 결연의 날 사회를 보았다.
|
결연을 축하하며 두 사람이 선물을 주고 받고 있다. 이날 주인공인 바부 람 브한다리(47세, 왼쪽), 람 쩐드라(50세, 오른쪽) | |
그는 쌀을 그들의 이마에 붙여주며 두 사람의 결연을 맺는 의식에 함께했고 두 사람의 앞날을 위한 기원을 행하였다.
네팔 사람들은 보통 이런 의식을 행할 때 붉은 색과 노란 색 꽃을 으깨어 제3의 눈 혹은 지혜의 샘이라고 하는 이마의 정중앙에 붙여주곤 한다.
|
축하객이 티까의식을 거행하는 동안 그 모습을 바라보는 바부람 브한다리의 표정이 엄숙하다 | |
람 쩐드라와 바부 람 브한다리는 지난 3개월여 동안 일을 하다 똑같이 팔을 다쳐서 일을 하지 못하였다.
그때 두 사람은 단짝처럼 함께 지내곤 하였다.
나는 그들의 느닷없는 미트라우네라는 행사 초대에 영문을 모르고 응했는데 어제의 행사는 단지 형제의 결연 이상의 의미를 갖는다고 했다.
두 사람은 서로 결연을 축원하며 서로에게 선물을 건넸다.
또 참석한 60여명의 축하객들은 그들을 위한 뿌자(기원) 의식인 티까를 붙여주고 축의금으로 두 사람에게 각각 다른 봉투를 전달하였다.
한국인으로는 필자와 시흥시 네팔이주노동자센터의 한 분이 함께했다.
|
축하객들이 네팔 음식을 곁들여 먹으며 축배를 들고 있다 | |
람 쩐드라에게 티까의식을 행하고 있는 동안 티까의식을 행하고 있는 축하객을 엄숙하게 바라보고 있는 바부 람 브한다리를 보면서 이 결연이 엄숙한 의식의 하나임을 직감할 수 있었는데 삼국지에 세 주인공인 유비, 관우, 장비의 도원결의가 이런 것이었나 싶다.
그들은 대의를 위한 것이었고 이들은 참다운 두 사람의 우정의 결실로 이어지는 결연이라는 차이점을 보여주는 것이 다르다면 다른 차이다.
축하객들은 네팔레스토랑에서 준비된 네팔 음식을 먹으면서 함께 축배를 들고 서로 여흥을 즐겼다.
|
바부 람 브한다리가 네팔전통 춤을 추며 자축하고 있다 | |
미트라오네의 전통은 300여년전부터 행해지던 네팔의 주요한 풍습 중의 하나라고 한다.
필자는 그동안 수많은 네팔의 축제와 문화행사들을 보아왔지만, 이번 미트라오네라는 행사는 처음 보았다.
그리고 그들의 나라가 아닌 한국의 수원에 네팔 레스토랑에서 그들과 함께하였다.
미트라오네(Mitlaune)는 남성과 남성, 여성과 여성의 결연으로 두 사람은 친 형제보다 더 큰 의미의 결연을 맺는 것이라고 한다.
미트라오네는 40여년전 한참 성황하였으나 그 이후로 점차 사라져가는 풍습이지만, 여전히 그 의미를 이어오는 사람들이 있다고 한다.
우정으로 시작된 만남이 그 이상으로 발전한 경우인데 그들은 미트라오네(Mitlaune) 이전에는 함께 숙식도 하고 벗처럼 지내는 사이였지만 미트라오네 의식이 끝난 후에는 형과 아우라는 호칭을 버린다고 한다.
둘은 서로를 존칭하는 Mit ju!라는 호칭을 사용한다고 한다.
Ju(주)라는 말은 누구누구 씨 혹은 선생님과 같은 존칭의 의미를 갖고 있어 둘은 죽을때까지 운명적으로 서로를 존중한다고 한다.
만약 같은 방에서 자다가 발이 맞닿거나 하면 큰 실례가 되기 때문에 그것을 방지하기 위해 미트라오네(Mitlaune) 의식이 치러진 후에는 아무리 가까운 사이라 할지라도 한방에서 자지 않는다고 한다.
하지만 다른 모든 일들은 친 형제 이상으로 돕는 인간관계로 발전한다고 한다.
만약 둘 중 한 사람이 이 세상을 떠나게 되면 상대에게 무한한 아쉬움을 갖게 되며 그의 부모를 친 가족처럼 모신다고 한다. 또한 상대의 아이를 양육하기도 하는 풍습이라고 한다.
그들의 결연이 아름다운 모습을 보여주었듯이 이후에도 그들의 삶에 축복이 함께 하기를 기원한다.
람 쩐드라가 18년 동안의 한국 생활을 하였고 가족과 떨어져 있었고 바부 람 브한다리는 이제 3년여의 한국 생활을 이어가고 있다.
그들이 가족과 떨어져 살아가는 동안의 외로움을 겪었거나 나름의 하소를 함께 나눌 수 있는 상대였거나 이제 그런 것들은 두 사람에게 중요한 것이 아닌 하나의 극복 대상이 되었다.
두 사람의 미래에 무한한 발전이 있기를 바라며 미트라오네(Mitlaune) 소개를 마치고자 한다.